1. 화학에서 '염(鹽, Salt)'의 정의
화학에서 염(Salt)은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되는 이온성 화합물을 의미한다.
산이 염기와 반응하면 물과 함께 염이 생성된다.
일반적인 중화 반응:
HX + MOH → MX + H2O
여기서,
- HX는 산(예: HCl, H2SO4)
- MOH는 염기(예: NaOH, Ca(OH)2)
- MX는 염(Salt)
예를 들어,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면 염화나트륨과 물이 생성된다.
HCl + NaOH → NaCl + H2O
이 반응에서 생성된 NaCl(염화나트륨, 소금)이 염(Salt)이다.
따라서 염은 항상 양이온(금속 이온)과 음이온(산의 음이온)으로 이루어진 이온성 화합물이다.
2. 탄산염이 '염'에 해당하는 이유
탄산염(Carbonate, CO3 2-)은 탄산(H2CO3)의 염이다.
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탄산염이 생성되는 대표적인 반응:
H2CO3 + Ca(OH)2 → CaCO3 + 2H2O
여기서,
- H2CO3는 탄산
- Ca(OH)2는 염기(수산화칼슘)
- CaCO3는 탄산의 염(탄산칼슘)
또한, 탄산나트륨(Na2CO3)도 비슷한 원리로 형성된다.
H2CO3 + 2NaOH → Na2CO3 + 2H2O
이와 같이 탄산염(CO3 2- 포함 화합물)은 탄산(H2CO3)의 염이므로 '염(鹽)'이라는 표현이 붙는다.
3. 탄산염의 화학적 특징
- 탄산 이온(CO3 2-)을 포함하며, 대부분 금속 이온과 결합한 형태이다.
- 물에 녹으면 금속 이온과 탄산 이온으로 해리된다.
- 산과 반응하면 이산화탄소(CO2)가 발생한다.
CaCO3 + 2HCl → CaCl2 + CO2 + H2O
이 반응은 석회암이 산에 의해 부식되는 원리를 설명한다.
4. 결론
✔ 탄산염(碳酸鹽)은 탄산(H2CO3)의 염(Salt)이므로 '염'이라는 표현이 붙는다.
✔ 탄산염은 금속 이온과 탄산 이온이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이다.
✔ 산과 반응하면 CO2를 방출하는 특징이 있다.
'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염이 금속이나 비금속이니 금속과 비금속의 혼합이니 (0) | 2025.02.27 |
---|---|
산과 염기가 중화반응하면 그냥 물이잖아 그런데 왜 이온성 화합물이라고 해 정확한 정의는 산과 염기가 중화반응하고 나온 부산물인 이온성 화합물 이라고 해야지 부산물이라는 말을 왜 빼? (0) | 2025.02.27 |
방해석에 물에 녹았을 때 물은 염기성이 돼 산성이 돼 (0) | 2025.02.27 |
탄산염 광물의 용해 (0) | 2025.02.27 |
탄산염광물의 종류 (0) | 2025.02.2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