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확률 계산 시 AND와 OR 조건의 차이
확률 계산에서 두 사건 AA와 BB가 발생할 확률을 구할 때 AND(그리고) 조건과 OR(또는) 조건에 따라 확률을 다르게 계산합니다.
⭕ AND 조건 (동시 발생, 교집합)
✔ 두 사건 AA와 BB가 동시에 발생할 확률을 구할 때는 곱셈 법칙을 사용합니다.
✔ 즉, P(A ∩ B) = P(A) × P(B) (단, AA와 BB가 독립 사건일 경우)
📌 예제
- 동전을 두 번 던져 두 번 다 앞면(Head)이 나올 확률
- P(앞면) = 1/2
- P(앞면 AND 앞면) = (1/2) × (1/2) = 1/4
- 주사위를 두 번 던져 각각 6이 나올 확률
- P(6이 나올 확률) = 1/6
- P(6 AND 6) = (1/6) × (1/6) = 1/36
👉 BUT! 만약 AA와 BB가 독립 사건이 아닐 경우(종속 사건),
곱셈 법칙은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:
P(A ∩ B) = P(A) × P(B | A)
즉, 두 번째 사건 BB의 확률이 첫 번째 사건 AA가 일어난 이후의 조건부 확률로 바뀜.
📌 예제 (종속 사건)
- 검은 공이 3개, 흰 공이 2개 있는 상자에서 연속으로 2개를 꺼낼 때, 둘 다 검은 공일 확률
- 첫 번째 검은 공 확률: 3/5
- 첫 번째 검은 공을 뽑았으므로, 남은 검은 공 확률: 2/4
- P(검은 공 AND 검은 공) = (3/5) × (2/4) = 6/20 = 3/10
🔵 OR 조건 (둘 중 하나 이상 발생, 합집합)
✔ 두 사건 AA와 BB 중 하나 이상 발생할 확률을 구할 때는 덧셈 법칙을 사용합니다.
✔ 즉, P(A ∪ B) = P(A) + P(B) - P(A ∩ B)
👉 BUT! 독립 사건일 경우에는 단순히 확률을 더하면 되지만, 두 사건이 겹치는 경우(교집합이 존재할 때)는 중복을 빼야 합니다.
📌 예제 (서로 배반인 경우, 즉 겹치지 않는 경우)
- 주사위를 한 번 던질 때 3이 나오거나 5가 나올 확률
- P(3) = 1/6
- P(5) = 1/6
- P(3 OR 5) = (1/6) + (1/6) = 2/6 = 1/3
📌 예제 (서로 겹치는 경우, 즉 교집합이 있는 경우)
- 카드 한 장을 뽑을 때 빨간색 카드이거나 킹일 확률
- P(빨간색 카드) = 26/52
- P(킹) = 4/52
- P(빨간색 킹) = 2/52 (빨간색이면서 동시에 킹인 경우)
- P(빨간색 OR 킹) = (26/52) + (4/52) - (2/52) = 28/52 = 14/26 = 7/13
🔷 결론
✔ AND (교집합, 동시에 발생) = 확률을 곱한다
✔ OR (합집합, 하나라도 발생) = 확률을 더하지만 겹치는 부분을 빼야 한다
💡 AND 조건은 일반적으로 확률을 줄이는 역할, OR 조건은 확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.
'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격자 에너지는 결합시의 출입하는 열이야? (0) | 2025.02.26 |
---|---|
아보가드로의 법칙(Avogadro's Law) 설명 (0) | 2025.02.24 |
전 세계에 우리나라처럼 선 캄브리아 때부터 존재했었던 대륙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. 지역적 규모 등 (0) | 2025.02.23 |
결합에너지와 격자에너지의 차이가 뭐야 (0) | 2025.02.23 |
알칼리 토금속은 왜 알칼리 토금속으로 부르지, 명칭유래 (0) | 2025.02.20 |
댓글